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전기인도 참고로 알아두면 좋은 슬라브 작업과정

마음은 파도를 타고 2008. 4. 21. 05:03

슬라브 깔기

1)순서
1. 옹벽형틀 선단에 각재(산승각)고임 철물(안장쇠)를 설치한다.
2. 옹벽과 옹벽 사이에 각재를 걸친다.
3. 걸친 각재에 써포트를 받친다.
4. 2,3번을 반복한다.
5. 슬라브 합판을 깐다.
2)검사 사항
- 필라 합판 및 필라 써포트는 잘 설치 됬는가

상판먹 놓기


1)순서
1. 제1,제2 중심먹을 놓는다.(4-1 하부먹줄 놓기 참조)
2. 세부먹을 놓는다.(화장실, PD,AD,AV,ST 등등 도면에 있는것 모두 , 전기 설비먹 까지)
2)검사사항
- 상판먹 까지 놓게 되면 그 먹줄을 기준으로 도면에 있는 각종 치수를 점검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타설에 문제가 되는 모든 사항을 점검하고 완전무결할 시 슬라브철근을 깔게 된다
1. 도면에 나와 있는 치수대로 구조물,형틀 설치가 잘 되었는가
2. 슬라브 면은 울퉁불퉁(데꼬보꼬)함이 없이 평활한가(아게사게)
- Beam이나 슬라브형틀은 그 중앙에 치솟음(camber)을 L/500 정도 둔다.
3. 구조물 각 외부형틀은 치수가 맞으면서 수평(도리)이 잘 맞는가
4. 먹줄은 맞게 놓았는가
5. 슬라브 위의 시설물(발코니 턱,결로방지용 아이소핑크,굴뚝박스,AD,PD박스,슬리브 등등)
은제대로 설치 되었는가제대로 설치 되었는가 6. 청소는 잘 되었는가
7. 옹벽 속에 들어가 있는 오물은 없는가
8. 층줄눈(메지) 수평 및 콤비(물끊기홈) 모서리부위 수절목(멘끼) 확인

슬라브 수평잡기 [아게사게]

- 움푹 들어가거나 처진 부위를 2인1조로 목수들이 검사한다.
들어간 부위는 support조이개를 이용하여 미세한 높이도 맞출 수 있다.
- 슬라브는 완전 수평이 되어야 한다.
( - Beam이나 슬라브형틀은 그 중앙에 치솟음(camber)을 L/500 정도 둔다.)

기타 슬라브 위에서의 작업]


1)내장목공(천정틀 및 석고보드 작업)들이 슬라브 위에서 목심을 박는다.
- 콘크리트 타설후 콘크리트 표면에 들어난 목심에 천정틀 및 커텐박스등을 박아 넣기 위해서
- 목심이 빠지지 않도록 엇빗자르기 한 목재를 900 900 간격으로 박는다

2) 설비공들이 스프링쿨라 설치용 철물,파이프덕트 설치용 슬리브등 설비 부속물등을 설치한다.
3) 박리제 칠하기
- 형틀해체 용이 및 콘크리트 보호등의 용도로 박리제를 칠한다.
이때 슬라브합판의 상태를 보아가며 박리제량을 결정한다
(요즘은 코팅합판을 많이 쓰는데 이 합판이 신품일 경우박리제를 칠하면 흡수가 안돼
그 박리제가 결국은 슬라브철근에 묻어 버리게 된다.
이때는 바르는 듯 마는듯 얇게 발라야 한다.)
2. 건물 수직(다대)잡기
-트랜싯을 이용하여 건물 각 외부 모서리 부분의 수직을 잡아준다.
만약 기준치수에서 많이 벗어났을 경우 한층에서 전부 수정하지 않고 한층에서 5mm씩
수정해 나가야 건물 전체적인 수직이 잡아지고 사람의 눈으로 봤을때 반듯하게 보인다.
한층에서 무리하게 잡았을 경우 사람눈으로봐도 건물이 삐뚤삐뚤하게 보이게 된다.

슬라브 철근 깔기

1)작업순서
1. 각 부재에 쓸 보강근(하부)를 배치한다.
2. 하부근(가로,세로)을 배치한다.
3. 하부근 결속
4. 발코니턱 철근 배치 및 결속
5. 상부근(가로,세로)을 배치한다.
6. 보강근 배치
7. 상부근 결속
8. 상부근 절곡(BENT)
9. 보 띠철근 배치 및 결속
2)검사사항
1. 도면에 표시된 배근간격 및 철근 종류가 맞는가
2. 스페이셔는 알맞게 배치 됬는가
3. 이음길이는 충분한가 (40d)
4. 상부근 정착 및 정착길이는 충분한가(주근은 정착)
- 원래 정착은 상부주근만 해도 되지만 하부근도 하도록 유도 한다.
상부주근만 정착 하고 하부 부근은 정착하지 않을 경우의 하부주근은 피복두께 30mm가
되기 까지 옹벽 속에 인입(형틀에 바짝 붙어 나중에 녹물이 새어나오게 해서도 않되고
옹벽에 조금 밖에 걸쳐 있기만 해서도 않된다.)

상부근 정착 길이


    철근종류

    설계강도

    HOOK

    겹침이음길이

    정착일반

    하단작은보

    바닥,지붕슬라브

    SD30A SD30B SD35

    180이하

    45D

    40D

    25D

    10D또는 150mm이상

    35D

    30D

    15D

    210- 240

    40D

    35D

    25D

    30D

    25D

    15D


5. 한 곳에서 너무 많이 잇지 않았는가(이음 부위를 분산 시킨다)

6. 인장측에서 잇지 않았는가 (슬라브 철근의 이음은 압축측에서 해야 한다.)

7. 수평(도리)철근은 배근되었는가

- 도리철근이란 콘크리트 타설시 옹벽철근의 형상을 유지 시켜주는 역활을 하는 철근
만약 이 도리철근을 배근하지 않으면 콘크리트 타설시 옹벽 수직철근이 흐트러져 나중에
옹벽철근 배근시 배근간격 잡기가 어렵다.
- 도리철근과 옹벽 수직철근의 교차지점 마다 하나씩 전부 결속한다.
그래야 콘크리트 타설시에 수직철근이 움직이지 않는다.

8. 피복두께는 충분한가
9. 철근형상이 올바른가(구불구불한 것은 없는가)

10. 철근에 녹,기름,박리제,페인트,오물등은 없는가
11. 거푸집에 철근이 맞닿아 있지 않은가

12. BENT는 SPAN의 1/4지점에서 정확히 꺽어졌는가

13. 창문 하부근 정착은 잘 되었는가
- 옹벽의 창문 밑 철근 으로써 수직근을 배근할 때 슬라브철근에 정착 시키지 않고그냥 꽂아서는 않된다.

14. 옹벽 속에 바이브레이터를 쑤실 수 있을 정도의 철근간격이 되는가
- 철근간격이 너무 조밀할 경우 옹벽 속에 진동기를 쑤시지 못해 옹벽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는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옹벽위에 배근되는 슬라브철근은 배근간격을 조절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진동기를 댈 수 있도록 한다.
15. 보강근의 철근 간격은 적당한가
- 철근간격을 너무 넓게 해서도 않된다.
1.5d이상, 2.5cm이상 1.25g이상 중 큰 값으로

16. 반복응력(주차장 보) 또는 비틀림 응력을 받는 휨구조는 TIE - STIRRUP(폐쇄형늑근)으로배근한다.

전기,소화설비 공사

-슬라브에 배치되는 각종 전기 스윗치,BOX등은 구조물(슬라브)에 지장이 없게 설치 되어야 한다.
-전기호스 : 상부근과 하부근 사이에 배치
-전기박스 : 너무 두꺼워 하부근이 뜰 경우 그 부분은 절곡 해준다.
-건물옥상 슬라브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동력간선은 최상층 천정틀속에 인입하는 것을 고려(?)


콘크리트 타설 높이 및 발코니 level 검사

- 콘크리트 타설 높이(댄바)를 level기를 이용해 측정하여 철근에 표시한다.
- 발코니 level은 외부에서 확연히 들어나므로 하부에서 측정하여 수평을 정확히 잡아야 한다.
(발코니 끝을 약간 들어준다)
- 인간의 시각적 착시방지-완전수평일 경우 쳐져 보임)

출처 : 전기공사전공회
글쓴이 : 매킨리 원글보기
메모 :